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2025 대선 부동산 공약 총정리! 후보별 정책 차이 한눈에 보기

by E-JUNG 2025. 5. 27.

 [부동산 정책 비교] 2025 대선 후보들의 핵심 부동산 공약

2025 대선 부동산 공약은 유권자들에게 매우 민감하고 중요한 이슈입니다. 이번 대선에서는 부동산 시장 안정화, 청년 및 무주택자 지원, 공급 확대 등이 핵심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으며, 각 후보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6인 후보의 주요 부동산 정책을 비교한 내용입니다.

2025 대선 부동산 공약

✅기호1 이재명 후보 (더불어민주당)

  • 수도권 250만 호 주택 공급: 공공임대, 공공분양 혼합 방식
  • 청년·신혼부부 대상 특별 공급 확대
  • 공공개발 확대: LH 중심 공공 주도 개발
  • 실거주 중심 세제 개편: 다주택자 규제 유지, 실수요자 혜택 강화

 

✅ 기호2 김문수 후보 (국민의힘)

  • 민간 중심 공급 활성화: 공공규제 최소화
  • 부동산 세제 완화: 종합부동산세 폐지 주장
  • 시장 기능 우선: 전월세 규제 철폐, 임대자 권리 보호 강조
  • 재개발·재건축 활성화: 안전진단 완화, 용적률 확대

2025 대선 부동산 공약

✅ 기호4 이준석 후보 (개혁신당)

  • 청년 코하우징 확대: 공유형 주택 모델 확대
  • 1인가구 주택 공급: 초소형 공공주택 확대
  • 주택 시장 데이터 플랫폼 구축: 실거래가 실시간 공개 시스템
  • 지방 소형주택 공급 확대: 지방 정착형 청년 주택 공급

 

✅ 기호5 권영욱 후보 (민주노동당)

  • 기본주거권 보장: 국가 주도로 무주택자 대상 공공임대 대폭 확대
  • 공공주택 비율 30%까지 확대
  • 전월세 상한제·계약갱신청구권 강화
  • 무상임대 실험 도시 추진: 지방 거점도시 대상 시범사업

 

✅ 기호7 황교안 후보 (무소속)

  • 재개발·재건축 전면 자유화: 민간 재건축 규제 철폐
  • 종부세 완전 폐지 및 양도소득세 대폭 인하
  • 부동산 투자 활성화: 외국인 투자 제한 해제 검토
  • 부동산 자산세 체계 전면 재정비

2025 대선 부동산 공약

✅ 기호8 송진호 후보 (무소속)

  • 전세사기 방지 특별법 제정: 보증금 보호를 위한 공공보증 시스템 도입
  • 자영업자·중산층 위한 장기 저리 주택대출 제도 도입
  • 공공과 민간 균형 개발: 수요 맞춤형 분양 주택 공급
  • 부동산 행정 디지털화: 온라인 등기·실거래가 자동 추적 시스템 도입

 

📊 부동산 공약 요약 비교표

후보 공급 정책 세제 정책 임대차 정책 기타
이재명 250만호 공공주택 실수요자 감세 청년 특별공급 공공개발 확대
김문수 민간 중심 공급 종부세 폐지 전월세 자유화 재건축 용이화
이준석 청년 코하우징 세제 중립화 1인 가구 중심 주택정보 플랫폼
권영욱 공공임대 30% 보유세 강화 임차인 권리 강화 무상임대 실험
황교안 민간 재건축 확대 종부세 폐지 임대차 자유화 외국인 투자 유도
송진호 민관 균형 공급 장기 저리 대출 전세사기 방지 디지털 행정 도입
 
 

2025 대선 부동산 공약은 각 후보가 어떤 방식으로 “시장 안정화”와 “주거 복지”를 바라보는지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공급과 규제의 균형, 임차인 보호, 청년층 자산 형성 등이 중요한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