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정보

교원자격증 취득 방법과 교사 연봉, 현실까지 알려드립니다

E-JUNG 2025. 5. 15. 06:00

교원자격증 | 스승의 날 특집, 교사가 되기 위한 첫걸음

매년 5월 15일은 스승의 날입니다. 이 뜻깊은 날을 맞아, 미래의 교사를 꿈꾸는 분들을 위해 교원자격증 취득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교사라는 직업은 단순한 지식 전달자가 아닌, 학생들의 삶을 이끄는 길잡이입니다. 그런 교사가 되기 위한 시작은 ‘교원자격증’에서 출발합니다.

교원자격증 ❘ 스승의 날

 

교원자격증이란?

교원자격증은 초·중·고등학교에서 정식으로 교사로 일할 수 있는 자격을 국가가 인증해주는 자격증입니다.
종류는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 초등교사
  • 중등교사 (과목별 자격증 포함)
  • 특수교사 등

 

교사 자격을 얻는 3가지 방법

1. 사범대학 졸업

  • 교사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대학
  • 전공과 함께 교직과정 자동 이수
  • 졸업 시 교원자격증 신청 가능

2. 일반대학 + 교직 이수

  • 일부 일반학과도 교육부 승인 시 교직 이수 가능
  • 교직 관련 과목 + 교육실습 이수 필수
  • 요건 충족 시 자격증 신청 가능

3. 교육대학원 진학

  • 학사 학위 소지자가 진학 가능
  • 중등 정교사(2급) 자격 취득 가능
  • 실무자나 비사범계 전공자에게 적합

 

교원자격증 ❘ 스승의 날

 

교원자격증 취득 조건

교원자격증을 받기 위해 충족해야 할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교직과목 이수

  • 교육학 개론, 교육심리, 교육공학 등 포함

교육실습 이수

  • 실제 초·중·고 현장에서 4주 이상 실습

인성검사 통과

  • 교사로서의 자질 확인 목적

자격검정 심사

  • 대학 또는 교육청을 통한 공식 심사

교원자격증 ❘ 스승의 날

 

교원자격증 이후의 진로는?

자격증을 취득했다고 해서 곧바로 교사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정규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 공립학교: 교원 임용고시(시험 경쟁률 높음)
  • 사립학교: 학교별 채용 전형 응시
  • 기타: 기간제 교사, 강사, 방과후 교사 등 다양한 진로 가능

 

요약

스승의 날을 맞아 교사가 되는 과정을 다시 돌아보게 됩니다.
교원자격증 취득은 교사라는 직업의 첫걸음이며, 아래 3가지 경로를 통해 자격을 얻을 수 있습니다:

  1. 사범대 졸업
  2. 일반대 + 교직이수
  3. 교육대학원 진학

이후에는 교직과목, 실습, 인성검사, 심사를 모두 통과해야 자격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격증 취득 후에도 임용시험 등을 통해 정규 교사로 나아가는 길이 열려 있습니다.
교사의 길은 쉽지 않지만, 그만큼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여정입니다.

 

화이팅!!

반응형